
📝 수업 내용 주제 1 : Git&Github 주제 2 : 스케치란 무엇인가? 스케치의 효율성 1. 공상을 현실적 밑그림으로 만드는 것이기에 시간 절약이 된다. 2. 전체 스토리를 알 수 있으므로 큰 구조를 파악하기 좋다. 3. 진행 과정의 스토리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스토리텔링에 도움이 된다. 효과적인 스케치 1. 1장에 1개의 주제만 담자. 2. 그리는데 3분 이상 소요하지 말자 3. 스토리를 그리자. 4. 알고 있는 개념은 생략하자. 아이디어 스케치 과정 1. 컨셉 도출하기 2. 컨셉 고정콘, 레벨화 하기 (데이터 정리) 3. 아이디어 스케치하기 (단위 디테일 포함) 🔥 과제 🔎 느낀 점 오전에 학습했던 깃과 깃허브 부분은 기존에 다른 강의를 통해서 일부는 접했던 내용이라 다시 한 번 들으니 이해가..

📝 개념 정리 활동(Activity) 다이어그램 활동 다이어그램은 시스템의 실행과 행위의 흐름을 표현한다. 또한 업무영역이나 시스템 영역에서 다양하게 존재하는 각종 처리 로직이나 조건에 따른 처리흐름을 순서에따라 정의한 모델이라 볼 수 있다. 비즈니스 프로세스 또는 작업에서 이용하는 고객의 흐름을 표현하는데 적합하다. 🎯 과제 요구사항 1. 새로운 다이어그램 만들기 2. 관계 기술하기 3. 시작점과 끝점의 흐름 잡기 🔥 결과 🔎 느낀 점 먼저 다이어그램을 종이에 그려서 전체적인 틀을 잡은 후 draw.io를 사용해 내가 그린 것을 보면서 만들었다. 그런데 이 툴이 아직 익숙하지 않아서 그런지 생각보다 시간이 오래 걸렸다. 좀 더 빠르게 다이어그램을 그릴 수 있는 툴이 있었으면 좋겠다. 수업에서 활동 다이..

📝 수업 내용 주제 : UML을 통한 서비스 흐름 잡기 UML이란? Unified Modeling Language로 복잡한 사람들의 사고와 생각을 표현하는 도구이다. 구축에 대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이 아닌 시스템 자체의 산출물의 역할을 시각화 하여 규정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런 과정을 통해 꼭 필요한 행위를 기반으로 한 객체 지향 모델링이 가능해진다. UML의 특징 1. UML은 이야기가 가능한 시각화 tool이다. 2. 사람의 행위를 기반으로 단계적 과정을 시점상으로 표현한다. 3. 사용자의 문제를 기반으로 모델링하여 좀 더 효율적이고 완성도가 높다. 4. 모델 주도적 개발 방식이다. UML에서 정의하는 모델링의 장점 1. 내부 구조나 동작하는 행위에 대한 표현의 자유 2. 시스템의 구성 요소..

📝 수업 내용 주제 : 플랫폼 구축을 위한 사고와 습관 플랫폼이란 인간의 관계에서 생성되는 교류의 정류장 역할을 하며 교류 속에 이뤄지는 다양한 소통, 거래를 통해 발생하는 트래픽을 기준으로 기업과 개인이 공동의 이익을 형성하는 곳이다. 플랫폼은 Device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관계/수단 (TV, 노트북 등) - 개인화 (스마트폰, 태블릿 등) - 프로세스화 (스마트 워치, 에어팟 등) - 자동화 (chatGPT 등) 플랫폼 서비스의 제공 환경은 찾아오는 서비스에서 찾아가는 서비스로, 소비자의 점점 귀찮음을 해결해주는 서비스로 이동하고 있다. 플랫폼은 시장의 흐름을 보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세상의 행동이 인터넷 서비스로 전환되고 있으며, 우리가 중점적으로 관찰해야 하는 것은 "관계"이다. 성공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