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유데미x스나이퍼팩토리] 10주 완성 프로젝트 캠프

 


📝 수업 내용

 

주제 : 플랫폼 구축을 위한 사고와 습관


  • 플랫폼이란 인간의 관계에서 생성되는 교류의 정류장 역할을 하며 교류 속에 이뤄지는 다양한 소통, 거래를 통해 발생하는 트래픽을 기준으로 기업과 개인이 공동의 이익을 형성하는 곳이다.
  • 플랫폼은 Device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관계/수단 (TV, 노트북 등) - 개인화 (스마트폰, 태블릿 등) - 프로세스화 (스마트 워치, 에어팟 등) - 자동화 (chatGPT 등)
  • 플랫폼 서비스의 제공 환경은 찾아오는 서비스에서 찾아가는 서비스로, 소비자의 점점 귀찮음을 해결해주는 서비스로 이동하고 있다.
  • 플랫폼은 시장의 흐름을 보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세상의 행동이 인터넷 서비스로 전환되고 있으며, 우리가 중점적으로 관찰해야 하는 것은 "관계"이다.
  • 성공한 플랫폼 서비스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문화를 리드하고 사용자의 생활/이용 환경에 변화를 준다는 것이다.
  • 쇠퇴한 플랫폼은 문화를 이끌고 리드했지만 다음 시대를 준비하지 못하거나 정체성을 변화시켜 고유의 컨셉을 버리는 결과를 초래한다.
  • 플랫폼이 성공할 수 있는 방법? 1. 기업의 신뢰가 없다면 사람과 사람의 신뢰를 공략  2. 이용을 하지 않으면 손실을 보는 듯한 기대 가치를 부여  3. 무료와 병행
  • 서비스를 초기에 기획하는 단계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는 마인드맵
[유데미x스나이퍼팩토리] 10주 완성 프로젝트 캠프 - 정재용 강사님의 마인드맵
내용 출처 : [유데미x스나이퍼팩토리] 10주 완성 프로젝트 캠프 정재용 강사님 강의 자료
 

🔥 과제

내가 만든 마인드맵

🔎 느낀 점

밀리의 서재 서비스를 기획하신 당근대장 정재용 강사님의 수업을 들으며 플랫폼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다.

내가 목표로 하고 있는 프론트엔드 개발자 또한 다양한 플랫폼 서비스를 다루기 때문에 첫 수업으로 적절한 주제이지 않았나 싶다.

성공적인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서는 가장 중요한 첫 번째가 기획단계임을 깨달았다.

무언가를 기획하고 만들기 위해선 경영진, 팀장, 디자이너, 개발자 등 여러 관계자와 협업해야 하고 그들의 이해와 공감을 이끌어야 되는데, 이 부분에서 IT 기술보다도 기획자가 본인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표현해서 원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도록 하는 게 중요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최근 chatGPT등 트렌디한 기술들이 등장하고 있는 만큼 그런 최신 기술들을 유용하게 활용하며 내 기술로 만들 수 있는 개발자가 되고자 다짐했다.

 

 


—————————————————————————————————————————
본 후기는 유데미-스나이퍼팩토리 10주 완성 프로젝트캠프 학습 일지 후기로 작성 되었습니다.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