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Yuniverse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Yuniverse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164)
    • 꼬리에 꼬리를 무는 공부 (4)
      • Front-end (4)
      • Back-end (0)
      • CS (0)
    • 우리FISA (26)
    • JS-algorithm (62)
      • 프로그래머스 (38)
      • BOJ (14)
      • JS 100제 (10)
    • HTML & CSS (5)
      • Tailwind CSS (0)
    • JS (12)
      • Javascript (8)
      • Node.js (4)
    • React (8)
    • TypeScript (7)
    • Java (4)
    • 유데미 프로젝트 캠프 (20)
      • 학습일지 (13)
      • 과제 (7)
    • Bundler (9)
      • Parcel (4)
      • Webpack (5)
    • Cloud (3)
      • Firebase (3)
    • 배포 (1)
    • Git (3)
  • 방명록

camelCase (1)
npm run dev로 개발 서버 실행하기 🎯

🎯 parcel vscode에서 짠 html을 웹에 실행시키는 방법은 대표적으로 vscode의 plugin중 하나인 Open with Live server가 있다. 하지만 parcel을 이용해서 개발 서버를 실행시키는 방법이 최신 웹 프론트엔드 개발에 더 유용하다고 볼 수 있다. parcel 설치는 터미널에서 npm install parcel-bundler -D 를 입력하면된다. 여기서 parcel이란, 쉽고 빠른 웹/앱 번들러로 번들은 프로젝트 개발에 필요한 여러 모듈(패키지)를 하나로 묶어내는 것이다. 이제 parcel을 이용한 개발 서버를 실행해보기 전에 먼저 프로젝트 폴더에 기본적으로 index.html 파일과 main.js 파일을 만들어 놓자. 1. "dev": "parcel index.html..

JS/Node.js 2022. 11. 4. 11:20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