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데미x스나이퍼팩토리] 10주 완성 프로젝트 캠프(프론트엔드) 2회차 - 서비스 기획 2

📝 수업 내용
주제 : UML을 통한 서비스 흐름 잡기
UML이란?
Unified Modeling Language로 복잡한 사람들의 사고와 생각을 표현하는 도구이다.
구축에 대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이 아닌 시스템 자체의 산출물의 역할을 시각화 하여 규정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런 과정을 통해 꼭 필요한 행위를 기반으로 한 객체 지향 모델링이 가능해진다.
UML의 특징
1. UML은 이야기가 가능한 시각화 tool이다.
2. 사람의 행위를 기반으로 단계적 과정을 시점상으로 표현한다.
3. 사용자의 문제를 기반으로 모델링하여 좀 더 효율적이고 완성도가 높다.
4. 모델 주도적 개발 방식이다.
UML에서 정의하는 모델링의 장점
1. 내부 구조나 동작하는 행위에 대한 표현의 자유
2.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 가능
3. 설계와 구현 간의 일관성 유지
4. 레벨화 가능
5. 명확한 의사 소통의 도구
UML 다이어그램의 종류
UML 다이어그램의 종류는 다양한데 특히 behavior diagram에서 activity diagram과 use case diagram이 중요하다.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유저가 무엇을 (What) 필요로 하는지를 기반으로 표현된다.
시스템의 상위 레벨 기능과 범위를 기술하며 시스템이 기능을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는 기술하지 않는다.


활동 다이어그램
활동 다이어그램은 시스템의 실행과 행위의 흐름을 표현한다.
비즈니스 프로세스 또는 작업에서 이용하는 고객의 흐름을 표현하는데 적합하다.


지난시간에 했던 마인드맵과 합쳐서 다이어그램을 이용한 기획 단계의 순서는 고객관계에 따른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키워드로 마인드맵 정리, 활동다이어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 느낀 점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공부를 할 때 UML은 중요한 개념 중 하나여서 UML 다이어그램의 종류를 달달 외웠던 기억이 있다.
하지만 그저 시험을 위한 공부였기에 정확히 UML이 무엇이고, 실무에선 어떻게 활용되는지 모르고 그냥 암기만 했었다.
그런데 오늘 수업을 통해 UML 다이어그램에 대한 실질적인 이해도를 높일 수 있었고 왜 중요한 개념인지, 실무에서는 어떻게 사용되는지 등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실습을 통해 복잡한 서비스의 기능 간 연관성을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보면서 서비스의 흐름을 잡고 의사전달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음을 몸소 체험했다.
수업 내용 출처 : [유데미x스나이퍼팩토리] 10주 완성 프로젝트 캠프 정재용 강사님 강의 자료
—————————————————————————————————————————
본 후기는 유데미-스나이퍼팩토리 10주 완성 프로젝트캠프 학습 일지 후기로 작성 되었습니다.
—————————————————————————————————————————